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속도위반 신호위반 과태료 범칙금 유리한 방법 (차이점, 벌점, 보험료 할증관계)

by 볼빨간앵디 2023. 1. 3.
반응형

과속카메라나 신호위반을 했을 때 고지서가 날아옵니다. 범칙금과 과태료로 따로 부과가 되는데요. 더 저렴한 범칙금과 조금 비싼 것 같은 과태료 중에서 어떤 금액으로 내야 할까요? 아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자동차 보험료를 갱신할 때 금액이 늘어나는 이유 또는 줄어드는 이유도 한번 살펴봅시다.

 

 

범칙금 30,000원(벌점0점) vs  과태료 40,000원

 

 

1. 범칙금

범칙금은 도로교통법을 포함하여 경미한 범죄행위에 대해서 부과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범죄행위를 인정한다고 봐야겠지요? 그럼 32,000원 범칙금을 내는 것은 범죄를 저질렀다는 것에 대해서 인정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벌점이 0점이라고 하더라도 위반건수가 올라갈 수가 있습니다. 이 위반건수가 올라가면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과태료 설명이 끝나고 알려드리겠습니다.

 

 

 

2. 과태료

사전납부시 32,000원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반 운전자 미확인이라고 적혀있죠? 과속을 했을 당시에 차량 운전자가 소유자가 했을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차를 빌려서 운전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자 미확인 상태로 과태료가 부과가 됩니다. 하지만 벌점이나 위반 건수는 올라가지 않습니다.

 

 

 

3. 범칙금과 과태료 그럼 뭐가 유리할까?

범칙금은 금액이 저렴해서 괜히 당기고 과태료는 금액이 높으니 괜히 내기 싫어집니다. 하지만 10,000원의 차이로 범칙금을 내는 것보다 과태료를 내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속도위반, 주차위반, 신호위반 고지서를 안 받는 게 가장 중요하죠. 하지만 고지서를 안 받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최대한 안전한 운전을 하되 고지서를 받았다면 과태료를 내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과태료를 내는것이 유리한 이유는 자동차 보험을 재계약 또는 갱신을 할 때 범칙금을 납부했다면 자동차 보험금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금을 계산을 할 때 아래 노란색으로 표시한 법규위반경력에 횟수가 산정되어 보험료 인상에 영향을 줄 수가 있습니다. 과태료와 범칙금 차이는 1만 원이지만 보험료는 적게는 50만 원 많게는 100만 원이 훌쩍 넘는 금액에서 인상률이 5%만 되더라도 한 번에 많은 금액이 인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반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래도 안된다면 금액을 조금 더 부담하고 과태료를 내는 것이 유리합니다.

보험료 할증요인 인상요인 확인 사이트

 

보험료 할증요인과 인상요인을 알아보려면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휴대전화 인증을 하면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prem.kidi.or.kr:1443/loginPage.do

 

 

속도 위반 범칙금과 과태료 확실한 정리

 

속도위반 범칙금vs과태료 유리한 납부 방법 차이 보험료

과속으로 경찰청에서 위반사실 통지 및 과태료부과 사전통지서 상세내역이 날라왔다. 제한속도 60km/h 에서 73km/h로 달렸기 때문이다. 여기서 범칙금 30,000원(벌점 0점), 과태료 32,000원 무엇을 내야

royal-copen.tistory.com

 

반응형